새벽기상(2021. 1.23.)
ㅇ새벽기상 - 야간근무로 미실시
ㅇ자기선언 10회 및 일기쓰기
ㅇ독서(강원국의 글쓰기 / p.1~p.203)
- 자신감을 갖게 해주는 또 다른 방법은 매일 글을 쓰는 것이다. 작가는 ‘오늘 아침에 글을 쓴 사람’ 이라고 했다. 일정시간이 아니라 일정분야를 매일 써보자. 하루 1시간씩 쓰지 말고, 하루 원고지 5매씩 쓰자고 다짐해보자
- 내가 글에서 하고자 하는 말이 무엇인지, 그것이 독자에게 어떤 효용이 있는지에 집중해라
- 글 쓰는 과정은 내 머릿속 어느 한구석에 있을지 모를 쓸거리를 뒤지는 시간이다
- 잘 쓰겠다는 욕심을 버리고, 고칠 것을 마련한다는 생각으로 일단 써야 한다
- 성공한 조직은 칭찬과 긍정이 부정적 반응보다 3배 정도 많다
- 남에게 도움이 되고 사회에 유익한 글을 쓰자고 마음먹자. 그러면 글쓰기가 편안해진다
- 이기적인 글쓰기를 해야 한다. 내가 재밌고, 나에게 유용하고, 스스로 감동해야 남에게 줄게 생긴다
-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는 습관에서 나온다. 프로는 아리송한 단어가 나오면 사전을 찾아보고, 새로운 생각이 나거나 좋은 문장을 만나면 메모하고, 사람이나 사물을 볼 때는 유심히 관찰한다
- 평소에 꾸준히 글을 쓰기 위해서는 자기생각을 만들어내는 ‘도구’가 필요하다.(도구 : 독서, 토론, 학습, 메모)
- 평소 글을 쓰는 것은 뿌리를 내리는 일이고, 써야 하는 글을 쓰는 것은 꽃과 열매를 맺는 것이다. 꽃과 열매를 잘 맺기 위해선 먼저 뿌리부터 굳건히 내려야 한다
- 감정에 충실해야 한다. 내 느낌이 어떤지, 무엇을 좋아하는지, 어떤 예감이 드는지 살펴야 한다. 글을 쓰려면 자신의 마음, 자기가 느끼는 감정을 알아야 한다. 그 이전에 표현할 감정이 있어야 한다. 정서가 풍부해야 한다
- 글쓰기에 필요한 6가지 : 지식, 해석, 오감을 통해 느끼는 것, 상상, 통찰
- 어휘력 키우는 방법
1) 어휘력을 높이겠다는 각성이 먼저다
2) 단어를 유념해 글을 읽는다
3) 글을 쓸 때 국어사전을 가까이 한다
4) 자기만의 단어장을 만들어보자
5) 단어의 어원에 관심을 가져보자
6) 키워드 중심으로 글을 써보는 것도 방법이다
- 좋은 문장을 쓰는 방법
1) 단문으로 써라
2) 문장성분 간 호응은 필수다
3) 수식어는 절제한다
4) 주어에 신경쓴다
5) 피동문은 가급적 피한다
6) 수사법에 관심을 갖는다
7) 어미를 다양하게 써보자
8) 가급적 동사형 문장을 쓴다
9) 문장을 쓰고 나면 소리 내 읽어보자